코인 기술&회사 분석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인분석] 샌드박스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sandbox, SAND)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샌드박스(SAN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진정한 메타버스 우리는 이미 수많은 메타버스를 접하고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것이 해외의 로블록스이고, 국내에서는 제페토가 있습니다. 이렇듯 수많은 메타버스가 존재를 함에도 불구하고 왜 샌드박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블록체인의 최고의 가치인 탈중앙화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는 점입니다. 로블록스나 제페토 모두 훌륭한 메타버스 게임이긴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로블록스나 제페토는 그 메타버스 세계를 지배하는 중앙 체계가 있고 사실상 로블록스나 제페토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메타버스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메타버스의 뜻 자체가 애초부터 초월과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와 세계를 의미하는 '.. [코인분석] 스택스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Stacks, STX)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택스(ST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타트업 생태계에서의 스택스 스택스 프로젝트는 2013년도에 시작을 하여 올해로 8년 차를 맞이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스타트업 생태계 관점에서 스타트업의 설립연도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됩니다.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연차별로 계산하게 되는데 1~3년 차를 초기 스타트업이라고 부르고, 3~7년 차를 도약기라고 부르며 다른 말로 죽음의 계곡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가 되면 많은 스타트업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시기인데 이때 상품의 시장성이 판가름 나게 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은 굉장히 어려우며 많은 스타트업이 이 시간에 폐업을 하고 맙니다. 3~7년 차의 스타트업이 시장성을 인정받아 성.. [코인분석] 니어프로토콜이 이더리움 킬러가 아닌 이유(NEAR)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니어프로토콜(NEA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발자 친화적 블록체인 니어프로토콜이 최근 주목을 받는 이유는 개발자의 편의성을 높인 블록체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입니다. 니어 프로토콜은 러스트(RUST)와 어셈블리 스크립트(AssemblyScript)라는 개발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언어는 개발언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스테이트 오브 JS라는 사이트에 의하면 자주 사용하는 개발언어 1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니어프로토콜은 개발자가 구축한 스마트 계약에서 발생하는 가스비의 30%를 즉시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수많은 개발자가 니어프로토콜로 오게 하는 결과를 낳게 하였습니다. 일렉트릭 캐피털에서 조사한 2021년에 가장 개발.. [코인분석] 모두가 주목하는 보라코인(BORA)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라코인(BOR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카카오는 클레이튼이 있음에도 왜 보라코인을 인수하였는가? 클레이튼은 카카오라는 거대 기업의 뒷배경으로 생태계는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카카오 또한 클레이튼을 활용한 여러 가지 사용 아이템을 내놓고 있습니다. 비상장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인 엔젤리그와의 협업으로 비상장 주식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아트블록이라는 회사를 통해 미술품의 일부를 소유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삼성 SDS와 함께 블록체인 DID 사업을 협력하여 추진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현재도 무리 없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클레이튼을 게임 내 경제 통화로 사용하게 된다면 게임의 안정성 및 .. [코인분석] 비체인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VET)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체인(V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차이나 리스크 아시다시피 중국은 코인 거래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비체인이 나올 2016년 당시만 해도 중국에선 코인 거래가 불법이 아니었으나, 해외자금 유출로 인해 2017년에 모든 코인 거래를 금지하였고, 2021년 5월부터는 더욱 강력한 조치로 채굴마저도 금지가 되었습니다. 중국 정부에서 비트코인을 금지하는 이유를 정리하자면 첫 번째 자금이 외국으로 빠져나간다는 점, 두 번째 코인을 투기성으로 간주한다는 점, 세 번째 채굴에 대량의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 세 가지 이유도 중요하지만, 코인을 금지하는 궁극적인 이유로는 바로 비트코인은 민주주의를 표방한다는 점입니다. 비트코.. [코인분석] 비트코인 6억 가는 이유(BTC)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BT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블록체인을 말할 때면 항상 같이 나오는 단어가 탈중앙화가 있습니다. 탈 중앙화라는 것은 말 그대로 시스템을 조종하는 주체가 없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탈 중앙화의 주체는 하나의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민중입니다. 이러한 민중의 힘은 엄청나게 거대하기 때문에 민중을 움직이는 탈 중앙화가 나올 때마다 세계는 엄청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인베팅 비트코인의 저자이자 얀 프리츠커는 비트코인 이전의 세 가지를 탈중앙화라고 보고 있습니다. 인쇄술의 발명은 정보 생산의 탈중앙화 인터넷의 발명은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의 탈중앙화 삼권분립 민주주의의 발생은 정부의 탈중앙화 이 세가지 모두 돈으.. [코인분석] 엔진코인과 우리나라 게임산업의 관계(ENJ)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엔진코인(ENJ)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반이 받쳐주는 코인 엔진코인을 만든 싱가포르의 엔진사는 2009년에 설립이 되어 올해로 설립한 지 12년이 되는 회사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 전부터 회원수가 2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는 엔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업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리고 더욱 효율적인 게임 아이템 거래를 위해서 2017년 블록체인을 도입하여 엔진코인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코인 회사들이 회사를 만들고 코인을 발행하는 것이 아닌, 코인을 먼저 만들고 그것을 개발하고 홍보할 회사를 만드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본인들이 만든 코인을 파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초기 자금을 파는 행위는.. [코인분석] 정부가 지원하는 코인 플레이댑(PLA)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레이댑(PL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험이 풍부한 게임회사 플레이댑을 개발한 수퍼트리는 기존 게임업계에서 15년에서 20년의 개발 경험을 가진 개발진으로 구성된 회사입니다. 또한, 2017년에 설립된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많은 개발을 개발해 왔습니다. 2020년 '신과함께 : 여명의기사단'의 개발을 시작으로 크립토도저, 도저버드를 개발하면서 우리나라 블록체인 게임업계에 라이징스타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2020년에 개발한 신과함께 여명의 기사단이라는 게임은 2016년 컴투스에서 개발한 라이트 : 빛의 원정대라는 게임을 블록체인과 접목시켜 업사이클링한 게임입니다. 수퍼트리에서는 기존의 게임마저도 블록체인과 접목시켜 플레이댑 생태계로 들어올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