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인분석] 샌드박스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sandbox, SAND)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샌드박스(SAN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진정한 메타버스 우리는 이미 수많은 메타버스를 접하고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것이 해외의 로블록스이고, 국내에서는 제페토가 있습니다. 이렇듯 수많은 메타버스가 존재를 함에도 불구하고 왜 샌드박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블록체인의 최고의 가치인 탈중앙화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는 점입니다. 로블록스나 제페토 모두 훌륭한 메타버스 게임이긴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로블록스나 제페토는 그 메타버스 세계를 지배하는 중앙 체계가 있고 사실상 로블록스나 제페토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메타버스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메타버스의 뜻 자체가 애초부터 초월과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와 세계를 의미하는 '.. [코인분석] 스택스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Stacks, STX)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택스(ST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타트업 생태계에서의 스택스 스택스 프로젝트는 2013년도에 시작을 하여 올해로 8년 차를 맞이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스타트업 생태계 관점에서 스타트업의 설립연도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됩니다.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연차별로 계산하게 되는데 1~3년 차를 초기 스타트업이라고 부르고, 3~7년 차를 도약기라고 부르며 다른 말로 죽음의 계곡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가 되면 많은 스타트업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시기인데 이때 상품의 시장성이 판가름 나게 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은 굉장히 어려우며 많은 스타트업이 이 시간에 폐업을 하고 맙니다. 3~7년 차의 스타트업이 시장성을 인정받아 성.. [코인분석] 니어프로토콜이 이더리움 킬러가 아닌 이유(NEAR)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니어프로토콜(NEA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발자 친화적 블록체인 니어프로토콜이 최근 주목을 받는 이유는 개발자의 편의성을 높인 블록체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입니다. 니어 프로토콜은 러스트(RUST)와 어셈블리 스크립트(AssemblyScript)라는 개발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언어는 개발언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스테이트 오브 JS라는 사이트에 의하면 자주 사용하는 개발언어 1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니어프로토콜은 개발자가 구축한 스마트 계약에서 발생하는 가스비의 30%를 즉시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수많은 개발자가 니어프로토콜로 오게 하는 결과를 낳게 하였습니다. 일렉트릭 캐피털에서 조사한 2021년에 가장 개발.. [코인니스, 뉴스분석] 코인으로 마케팅을! 기업이 코인 결제를 도입하는 이유!(220305) 2022년 3월 4일 코인니스 뉴스 미국 쉐이크쉑, 결제액의 15% 비트코인으로 돌려준다 우리나라에서 "쉑쉑버거"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햄버거 프랜차이즈 쉐이크쉑에서 결제액의 15%을 비트코인으로 돌려준다는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쉐이크쉑은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코인을 통한 결재 수요가 있는지 확인한다고 하였습니다. 물론 프로모션에 참여하는 인원이 늘어나게 된다면 쉐이크쉑에서는 코인 결제를 공식적인 결제 수단으로 인정하게 될 것 같습니다. 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도입을 한다고 하면 그 기업은 어느정도의 코인을 보유할 수밖에 없습니다. 코인 결제에 대한 테스트나 환불 또는 교환을 위해서는 코인을 가지고 있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쉐이크쉑이 코인 결제를 도입하게 된다면 코인을 매수.. [코인분석] 모두가 주목하는 보라코인(BORA)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라코인(BOR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카카오는 클레이튼이 있음에도 왜 보라코인을 인수하였는가? 클레이튼은 카카오라는 거대 기업의 뒷배경으로 생태계는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카카오 또한 클레이튼을 활용한 여러 가지 사용 아이템을 내놓고 있습니다. 비상장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인 엔젤리그와의 협업으로 비상장 주식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아트블록이라는 회사를 통해 미술품의 일부를 소유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삼성 SDS와 함께 블록체인 DID 사업을 협력하여 추진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현재도 무리 없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클레이튼을 게임 내 경제 통화로 사용하게 된다면 게임의 안정성 및 .. [코인니스, 뉴스분석] 넷마블, P2E·NFT 다 내 꺼야!!(220302) 2022년 3월 2일 코인니스 뉴스 넷마블, 자체 코인으로 NFT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 구축 넷마블이 NFT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얼마 전 아이텀게임즈를 인수하여 P2E에 진출을 하겠다는 것에 이어 자체 코인인 MBX까지 발행하면서 NFT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한다는 것은 얼마나 가상자산 시장에 열정적인지 보여 줄 수 있습니다. 몇몇 분들께서는 아이텀게임즈를 인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굳이 자체 코인으로 만들어서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운영을 하는지 궁금해하실 수도 있으십니다. 아이텀게임즈 코인은 P2E 게임에서 사용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게임 내에서 수요와 공급의 문제로 아이텀게임즈 코인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가격 변동성이 심하면 NFT 마켓플레이스 내에도.. [코인니스, 뉴스분석] 우크라이나 전쟁은 알트코인 마케팅 수단?!(220301) 2022년 3월 1일 코인니스 뉴스 저스틴 선 "우크라이나, 트론 기부 월렛 오픈하면 100만 달러 기부" 비트코인이 우크라이나 정부가 비트코인으로 정식적으로 지원을 받는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에서는 비트코인 기부 행렬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트코인을 통한 기부가 이어지자 다른 알트코인 재단에서도 본인의 코인을 통해 기부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제일 먼저 크립토닷컴체인에서 기부 의사를 밝혔으며 적십자회에 백만 달러를 기부하였다고 하였습니다. 트위터 내용상으로 볼 때 코인으로 기부한 것이 아닌 사비 또는 재단 보유금으로 지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뒤이어 폴카닷의 창시자 게빈 우드 또한 기부의사를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폴카닷 기부 월렛을 오픈하면 500만 달러(약 60억)를 .. [코인분석] 비체인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VET) 안녕하세요. 블록체인매니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체인(V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차이나 리스크 아시다시피 중국은 코인 거래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비체인이 나올 2016년 당시만 해도 중국에선 코인 거래가 불법이 아니었으나, 해외자금 유출로 인해 2017년에 모든 코인 거래를 금지하였고, 2021년 5월부터는 더욱 강력한 조치로 채굴마저도 금지가 되었습니다. 중국 정부에서 비트코인을 금지하는 이유를 정리하자면 첫 번째 자금이 외국으로 빠져나간다는 점, 두 번째 코인을 투기성으로 간주한다는 점, 세 번째 채굴에 대량의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 세 가지 이유도 중요하지만, 코인을 금지하는 궁극적인 이유로는 바로 비트코인은 민주주의를 표방한다는 점입니다. 비트코.. 이전 1 2 3 다음